책갈피 두번째 에피소드

김동석원장의 책갈피 (134) 덴탈 서비사이징(Dental Servicizing)

수리수리동술이 2010. 10. 9. 01:53

덴탈 서비사이징(Dental Servicizing)

 

 미국의 정통 비즈니스 전문지 포춘(FOrtune)은 해마다 4000명의 기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미국 기업들의 우선순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순위를 결정하는 8가지 지표는 혁신성(Innovativeness), 경영 수준(Quality of Management), 임직원의 재능(Employee Talent), 재정의 건전도(Financial Soundness), 기업자산의 활용도(Use of Corporate Assets), 장기 투자 가치(Long Term Investment Value),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의 질(Quality of Product) 등 입니다. 선정기준이 대단히 엄격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기업들은 포춘 순위 10위권에 드는 것을 대단한 영광으로 여깁니다. 최근에는 이 항목중 경제적인 지표보다는 사회적 책임과 서비스 등의 기업의 이미지에 대한 점수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실제로 순위에 드는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고 있는 이미지가 강한 기업들입니다.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준수해야 한다는 논의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경영상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결정적 계기는 사실 투자자들의 변화 움직임 때문이었습니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책임을 지는 기업, 환경과 인권과 소비자와 노동자를 생각하는 기업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기업이라는 철학에 바탕하여 투자하는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 사회책임투자)의 급격한 부상으로 인해 기업들은 더 이상 사회적 책임을 도외시한 채 기업 경영을 수행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SRI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부분을 평가해, 사회에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업의 투자 비중을 줄이고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의 투자 비중을 높입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투자자로서 기업이 사회에 책임을 다하도록 강제하거나,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에 직접 투자하는 활동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즉 기업을 움직이는 투자자들의 의식이 변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을 중요시하는 경영방식이 21세기의 경영화두가 되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지속가능경영방식입니다.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지속가능경영 (CSM :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은 21세기의 새로운 경영방식으로 경제성장과 환경보전과 사회발전의 조화로운 균형을 추구하는 내용입니다. 기존의 경영방식은 경제적인 수익성에 많이 집중했지만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적인 책임과 환경보호에 앞장서는 등 사회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로써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속가능경영이 화두로 등장한지 시간이 좀 지났음에도 이를 통해 직접적인 성과를 거둔 기업은 드문편입니다. 장기적으로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면서 꾸준히 이익도 늘어나는 사업 모델 자체가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최근 '서비사이징(Servicizing)'이라고 부르는 서비스중심의 사업모델이 각광을 받는 이유는 지속가능경영의 새로운 모델을 찾기위한 노력으로 보입니다. 2007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슬론매니지먼트리뷰 겨울호의 '서비사이징을 통한 지속가능경영(Sustainability Through Servicizing)'은 제품중심 및 공급중심에서 서비스중심으로 사업을 바꾸면 지속가능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우리 치과에서 할 수 있는 서비사이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치과의 서비사이징은 유지관리와 예방에 있습니다. 환자고객이 무서워서 오기 싫은 치과는 아이러니하게도 자주 치과에 오시는 분들은 별로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바로 자주 오시는 분들은 치료가 필요한 단계가 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치과가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힘들게 치료를 마치신 분들이라고 하더라도 유지관리가 안되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반복적으로 정신적, 경제적 손실을 보시게 된다는 겁니다. 우리가 치료후의 유지관리를 중요시하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입니다. 치과의 역할 대부분이 예방에 있다면 치료과정, 기공과정 등에서 생기는 엄청난 양의 폐기물의 감소로 환경에도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즉 환경보존과 국민구강건강증진이라는 서비스를 모두 만족시키는 서비사이징을 통한 지속가능경영 치과가 되는 것입니다.